MRI / MRA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라고 불리는 자기 공명 영상은 자석을 이용한 촬영 방법입니다.
MRI 검사는 뇌종양 등 뇌 자체의 병변을 진단하기 위해 이미지화한 것이고, MRA는 혈관의 기형이나 막힌 부분 등을 자세하게 이미지화시켜 뇌혈관을 진단하는 검사입니다.
1해븐리병원의 MRI / MRA
- 최신형 MR 장비로 당일 결과 판독 가능! 판독 오류 최소화!
- 인체에 무해한 MR
- 방사선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하고, 검사부위의 제약을 받지 않습니다.
- 합리적인 비용

.jpg)
.jpg)
.jpg)
경동맥초음파
1경동맥초음파
경동맥은 뇌로 가는 혈액의 80%가 통과하는 목 부위의 중요한 혈관입니다.
경동맥 초음파검사는 인체에 무해한 초음파를 사용하여 경동맥의 좁아진 상태와 혈전 유무, 경동맥으로 흐르는 혈류의 적절성을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경동맥 초음파 검사로 부분적인 동맥 폐색이나 동맥 협착 등이 있는지 진단할 수 있습니다.
경동맥 초음파 검사가 필요한 경우
-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흡연, 비만 등 각종 성인병 및 가족력이 있는 분
- 뇌졸중 및 심혈관질환으로 치료를 받고 있거나 가족력이 있는 분
- 일시적인 마비, 말하기 장애, 뇌졸중 전조증상이 있는 경우
- 어지럼증이 자주 있거나 협심증이 있는 경우
- 뚜렷한 이유 없이 기억력이나 사고력이 조금씩 떨어지는 경우
.jpg)
Echocardiography(심장초음파)
심장초음파검사는 협심증 및 심근경색 등의 허혈성 심질환, 판막질환, 심근질활, 심낭질환, 심내막염 등 모든 심장질환의 진단에 필수적인 검사입니다.
인체에 무해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심장의 움직이는 모습을 관찰하여 심장의 해부학적 구조의 이상, 심장의 기능, 심장 내 압력 등을 관찰할 수 있는 검사로, 대부분의 심장질환에서 매우 중요하게 사용되는 검사이며, 심질환에 높은 정확도를 가집니다.
심장초음파 검사가 필요한 경우
- 가슴통증이나 두근거림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 어지러움 및 실신, 부종, 만성피로 등의 심장질환이 의심되는 증상이 있는 경우
- 심혈관질환의 가족력이 있거나 심혈관질환으로 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
- 흉부 x-ray 검사 및 심전도 등에서 심비대 등의 이상소견을 보이는 경우
- 당뇨, 감상선질환, 만성신부전, 류마티스질환, 빈혈, 만성폐쇄성 질환 등
심장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내과질환이 있는 경우
- 평소 저혈압이나 고혈압이 있는 경우
- 콜레스테롤이 높거나 약물을 장기간 복용하고 있는 경우
- 담배와 술을 평소에 많이 하거나 스트레스가 심한 경우


심전도 검사(EKG)
심전도 검사는 심장 박동의 주기 중에 일어나는 심장의 활동상태를 그래프로 기록하는 검사로 심장에 대한 기본적인 검사입니다. 심장의 리듬, 심장과 혈관의 관계 등을 검사해 심장의 활동 및 상태가 건강하고 좋은지에 대해 체크할 수 있습니다.
신경생리학 검사
1근전도 검사(EMGL electromyography)
근전도 검사는 신경 자극에 대한 근육의 반응을 근육 내 전기적 변화를 감지하여 검사로, 말초신경 손상 및 중추신경계 질환과 근육질환 등을 진단하고 그 질환의 손상 정도를 판단하는데 매우 유용합니다.
근전도 검사를 통한 진단
- 말초신경 손상 질환: 자가면역성 말초신경염, 운동신경원 질환 등
- 근육 손상 질환: 염증성 근염, 대사성 근염 등
- 이상운동질환: 진전증, 근긴장 이상증 등

2신경전도 검사(NCS: Nerve Conduction Study)
신경전도 검사는 환자의 근육부위 피부에 접착식 전극을 부착한 후 말초신경주행경로를 따라서 피부와 신경이 가까운 부위에 전기자극을 하는 검사입니다. 척수 일부와 말초 신경, 신경근 접합부, 근육의 전기 활동을 검사할 수 있습니다.
신경전도검사를 통한 진단
- 팔다리 말초신경 마비 진단, 손발저림 및 팔목터널 증후군 진단, 당뇨성 및 알콜성 말초신경증 진단
- 얼굴 신경 및 삼차 신경 병변진단, 뇌줄기의 병변 진단
전기자극 기구에 의한 신경압박으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전기자극에 따른 저릿한 느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유발전위검사(EP: Evoked Potential Study)
유발전위 검사는 시각, 청각, 전기자극, 전정자극으로 유발되는 뇌의 변화를 확인하여 각각의 신경경로 및 뇌의 각 담당지역의 이상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전기생리검사입니다.
해븐리병원의 EP(유발전위검사)
- 아프지 않습니다.
- 센서 부착으로 간단히 검사할 수 있습니다.

신경전도 속도검사(NCV)
말초신경에 전기적 자극을 가하여 유발되는 복합전위를 응용하여 신경기능을 평가, 분석, 기록하는 것으로써, 손발이 저리거나 감각이 떨어지는 등 이상감각, 통증 등이 나타나는 신경병증을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신경전도 검사는 신경병증의 감별 진단, 즉 운동신경원 질환 (Motor neuron disease), 신경근병증(radiculopathy), 신경총병증(plexopathy), 교액성신경병증(entrapment neuropathy), 단발성 및 다발성신경병증(Mono & Polyneuropathy) 그리고 말초신경의 손상 등의 진단에 응용됩니다.
또한 신경전도 검사는 근육병증(Myelopathy) 그리고 말초신경 질환을 구별하는데 도움을 주며 임상소견 및 근전도 소견과 함께 종합적으로 평가됩니다.
뇌파검사(EEG:electroencephalogram)
뇌파 검사는 특정부위의 뇌파 진동수 등을 통해 집중력 상태를 파악하거나, 간질발작이나 종양, 뇌종양, 두부외상, 정신장애 등을 판별하기 위해 시행합니다. 검사시 통증은 없으며, 머리와 얼굴 부위에 센서를 부착하여 실행합니다.

골밀도검사(BMD: bone mineral density)
X-선을 이용한 컴퓨터 측정(골밀도 흡수계측기)이 가장 보편화된 방법으로 척추, 대퇴골 및 손목의 골밀도를 측정함으로써 진단이 가능하며 정확하고 통증이 전혀 없는 간편한 검사입니다. 골밀도 검사를 통해 골다공증의 진단과 향후 골절의 위험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뼈의 구조는 잘 지어진 건축물과 같아서 매우 복잡하고 정교한 구조를 가집니다. 골다공증은 뼈의 밀도가 감소하고, 구조가 엉성해짐으로써 뼈의 강도가 약해져 골절이 쉽게 일어나는 질환입니다.
골감소증은 골다공증과 정상인 사이일 때를 말하며, 시간이 지나면 골다공증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아 조기부터 진단과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골다공증이 있을 경우, 50세 이상의 여성이 평생을 살아가는 동안에 약 50%가 손목, 척추, 대퇴골의 골절을 경험할 수 있는 위험이 있는 것으로 보고됩니다. 따라서 고령 인구가 늘어 가고 있는 상황에서 골다공증과 이로 인한 골절은 더욱 문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적외선 체열검사(DITI: Digital Infrared Thermal Imaging)
체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측정하는 장비로 통증이 생기는 부위에는 다른 부위와 온도가 다른 냉감이나 열감과 같은 현상이 잘 발생하는데 이것을 감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MRI나 CT, x-ray검사 등에서 알 수 없는 신경손상과 염증, 순환장애 등을 구별하여 정확한 진단에 도움을 주는 검사로, 몸에서 발생하는 체열을 감지하여 통증이 있는 부위와 신경이 손상된 부위 및 범위를 찾아내는 검사입니다. 실제로 적외선체열검사를 해보면 통증을 호소하는 부위의 온도가 떨어져있는 것을 쉽게 관찰할 수 있습니다.
해븐리병원의 DITI(적외선 체열검사)
- 방사선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임산부나 유아도 검사가능
- 신체의 통증범위를 정확히 측정가능(빨강→노랑→녹색→파랑→보라→검정)
- 치료 전후의 정확한 비교 가능
- 신체 국소 부위뿐만 아니라 전신 측정도 가능
- 검사시 통증이 전혀 없고, 사진찍 듯 간단히 검사 가능

Video frenzel test
인체의 평형기관에 해당하는 구조인 귀, 눈, 뇌 그리고 척수로부터의 고유신경계를 검사하여 어지럼증이 있는지 또는 어지럼증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진단하는 방법 중 눈과 두뇌의 기능을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Video Frenzel 검사는 빛을 차단시키고 안구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도록 제작된 특수카메라가 부착된 마스크를 착용하고 실시합니다. 카메라를 통해 나타나는 안구의 움직임은 영상기록기를 통해 컴퓨터시스템에 전달되고 자료로 입력되어 현재 환자의 어지러움 상태와 정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두개 자기자극치료TMS(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1980 년대 초반 P. A. Merton 과 H. B. Morton은 고전압 전기자극으로 대뇌 운동피질을 활성화시켜 해당 근육을 수축시키는 현상을 밝힌 후 뇌 전기자극은 뇌 운동신경경로를 연구하고 다양한 신경계 질환을 가진 환자에게 치료용 목적으로 적용되게 되었습니다.
경두개 자기자극의 기술적 원리는 코일에 짧고 강한 전류를 흘려 급격히 변화하는 자기장을 유발하는 것으로, 두피 위를 자기장으로 자극하여 대뇌의 신경세포를 흥분 또는 억제시키는 최첨단 치료법입니다.
연속적인 자기자극으로 유발전위를 유발시켜 대뇌피질의 신경세포를 활성화시키는 방법은 연속적인 자극은 다양한 주파수와 강도로 적용하였을 때 대뇌 피질에 흥분성 또는 억제성 효과를 자극시에 유발할 수 있고 단기 혹은 장기적으로 대뇌피질 활성도를 변화시킵니다. 초당 1회 즉 1 Hz 자극의 저주파자극은 운동피질의 활성도를 억제하고, 초당 10회 또는 20회 즉, 10 또는 20Hz의 고주파수 자극은 단기적으로 대뇌피질 활성도를 증가시킵니다. 이러한 효과를 이용하여 뇌졸중, 우울증, 파킨슨병, 간질, 통증 등 다양한 질환에 치료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경두개 자기자극 치료가 필요한 경우
- 약물치료 효과가 저조한 우울증, 불안증 등의 치료에 효과적
- 약시, 환청, 강박증, 발음장애, 이명증
- 편두통, 만성통증, , 환상통, 섬유성 근육통, 삼킴장애
- 근경련, 간질, 근위축성 축삭 경화증, 파킨슨병, 중풍, 중풍 후유증 등


자율신경계 검사기립경 검사(tilt table test)
정상인의 경우, 눕거나 서 있을 때 뇌로 일정한 혈액이 공급되는데, 이를 위해서 자율신경은 신체의 혈관을 수축시켜 항상 일정한 뇌혈류가 유지되도록 합니다. 그러나 갑자기 일어날 경우 다리부분의 피가 미쳐 올라가지 못해 심장에는 약 500cc 정도 부족한 양의 혈액이 들어오게 됩니다. 이때 심장은 머리에 혈액을 차질없이 공급하기 위해 맥박수를 올리는 반응을 하게 됩니다.
혈압약이나 심장의 운동을 담당하는 자율신경손상, 목부위의 혈관확장을 인지하여 머리나 심장으로 신호를 보내는 부분에 문제가 생기면, 일어설 때 뇌혈류가 부족하게 되어 어지럼증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기립성 저혈압 검사는 심전도, 혈압, 맥박수, 뇌혈류량 등을 모니터링하면서 정상적인 반응이 나타나는지 살펴보는 특수검사입니다.


Apo E 유전자형 검사
ApoE 유전자형 검사 은 지질 대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E2, E3, E4 의 3 가지 형을 가집니다.
3형 과지단백혈증(Type-III hyperlipoproteinemia) 환자의 90% 이상이 E2/E2 동형접합(homozygote)이며 E4/E4 homozygote의 경우 관상동맥질환(Coronary heart disease)와 알쯔하이머 질환(Alzheimer's disease)의 주요 위험인자로 보고되어 있습니다. 역학적 연구 결과에 따라 대립 형질에 따른 관상 동맥 질환이나 동맥 경화증을 동반한 뇌혈관 질환의 발생빈도를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습니다.
1해븐리병원의 Apo E 유전자형 검사를 통한 예측가능한 질환
- 3형 과지단백혈증(Type-III hyperlipoproteinemia)
- 관상동맥질환
- 동맥 경화증을 동반한 뇌혈관 질환
- 알쯔하이머 질환(Alzheimer's disease)

신경심리검사
개인의 인지, 성격, 심리적 특성, 행동상 문제의 정확한 파악 및 진단을 위한 평가로, 정상인, 건망증, 치매 및 뇌혈관 질환 평가를 위해 인지기능을 전반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시행합니다.
1해븐리병원에서 실시하는 신경심리검사 영역
- 주의집중능력(attention & concentration)
- 언어 및 언어 관련 능력(language & related functions)
- 학습 및 기억 능력(learning & memory functions)
- 시공간적 지각/분석 및 구성 능력(visuospatial perception & constructive functions)
- 전두엽/집행 기능(frontal/executive functions)
- 성격 및 정서 기능(personality & emotional functions)


뇌혈류초음파(TCD)
개인의 인지, 성격, 심리적 특성, 행동상 문제의 정확한 파악 및 진단을 위한 평가로, 정상인, 건망증, 치매 및 뇌혈관 질환 평가를 위해 인지기능을 전반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시행합니다.
2뇌혈류초음파(TCD)
뇌혈류 초음파 검사는 인체에 무해한 초음파를 사용해 머리에 위치한 뇌혈관의 혈류 속도, 혈류량, 혈류방향 등을 측정함으로써 혈관의 협착이나 팽창, 출혈, 동맥류 등을 진단하는 검사입니다.
해븐리병원의 뇌혈류초음파검사(TCD)
- 비 침습적인 방법으로 뇌혈관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검사법
- 조영제를 쓰지 않기 때문에 주사를 맞을 필요가 없음
뇌혈류초음파 검사로는
- 혈류역학상 중요한 뇌혈관의 협착 발견
- 두통의 진단(편두통, 큰 뇌종양 등)
- 지주막하출혈 후의 혈관경축과 같은 혈관수축의 평가와 추적 검사
- 동정맥 기형의 발견과 치료효과 판정
- 색전의 발견
- 모야모야병의 진단 및 기타 뇌혈관 질환의 진단이 가능합니다.


안진계 검사(VNG)
2안진계 검사(Video NystagmoGraphy, VNG)
어지럼증은 전정기관을 침범하는 전정 어지럼증과 전정계 이외의 부분의 병에 의한 비전정 어지럼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또한 전정 어지럼증은 내이(속귀)에서 기인하는 것과 뇌 등의 중추신경계에서 비롯되는 어지럼증으로 분류됩니다. 만성 어지럼증에서는 그 징후가 잘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며 따라서 다양한 검사를 통하여 전정계의 이상 증상을 찾아내어야 합니다.
안진계 검사는 안구의 움직임을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하여 컴퓨터로 분석하는 검사로, 환자의 안구운동 중에 나타나는 안진(Nystagmus)을 기록 및 분석하는 검사입니다. 이를 통해 어지럼증이 귀의 전정기관에서 발생한 것인지 중추신경계의 기능적인 이상으로 발생되었는지 감별 진단하며 좌우 병변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중추성 어지러움과 말초성 어지러움을 감별 진단하며 좌우 병변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안진계 검사의 종류
- 자발안진검사 : 아무런 자극 없이 유발되는 안진을 기록하는 검사
- 주시안진검사 : 불빛을 좌우로 따라 보며 기록하는 검사
- 두위안진검사 : 머리의 위치를 다르게 하여 유발되는 안진을 측정하는 검사
- 두위변환안진검사 : 갑작스러운 자세 변화를 일으켜 실시하는 검사
- 두진후안진검사 : 머리를 좌우로 빠르게 흔든 후 유발되는 안진을 기록하는 검사
- 온도안진검사 : 양측 귀에 냉수와 온수를 교대로 넣어주어 어지러움을 유발시켜 전정기능의 차이를 비교하는 검사

동맥경화 및 협착검사
2동맥경화 및 협착검사
동맥경화란 혈관 관내벽에 지방, 콜레스테롤, 이상조직 등이 침착하여 혈관내경이 좁아지고 동맥벽이 굳어져 딱딱하게 되는 현상을 말하며 뇌경색, 협심증, 심근경색, 말초혈관폐쇄, 신장경화증 등 위험한 합병증을 일으키게 됩니다. 동맥경화는 서서히 진행되기 때문에 대부분 뇌경색이나 심근경색 등의 합병증이 생기고 나서야 비로소 검사하고 치료를 받게 됩니다. 이런 동맥경화를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하게 되면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동맥경화검사(PWV)는 혈관의 탄력성과 혈관내벽의 침전 정도를 측정하여 혈관이 얼마나 딱딱한가를 나타내는 동맥경직도를 측정하여 조기에 동맥경화를 스크린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동맥협착도(ABI), 혈관나이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동맥경화 및 협착검사가 필요한 분
- 고혈압 : 고혈압으로 약을 복용하시는 분
- 당뇨병 : 극심한 혈관손상을 가져오는 당뇨병이 있으신 분
- 고지혈증 :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고 고지혈증으로 약을 복용하시는 분
- 스트레스 : 평소 심한 스트레스를 받는 분
- 비만 : 비만으로 인한 동맥경화나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의 위험에 놓이신 분
- 흡연 : 흡연 또는 간접흡연을 하시는 분
- 고령자 : 동맥경화의 위험신호 고령화, 평소 건강하시던 분도 방심 금물
- 남자 : 남자가 여자보다 상대적으로 동맥경화 위험에 더 노출

CT
CT( Computed Tomography)라고 불리는 컴퓨터 단층 촬영법입니다. 신체의 여러 각도에서 투과시킨 X선을 컴퓨터로 측정하고 재구성하여 영상으로 나타내기 때문에 일반 X선 사진으로는 확인하기 어려운 뇌 동맥류 등 뇌혈관 기형, 폐 질환, 암(종양) 등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1해븐리병원의 CT
- 선명한 고화질의 3차원 영상 구현
- 고속촬영을 통한 전신 스캔
- 넒은 구경의 CT로 편안하게 검사
- 방사선량 최소화
- 짧은 검사시간
